최근에 커피챗을 하면서 굉장히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는데, 그 중 하나인 드롭박스에서 정리한 엔지니어링 커리어 프레임워크라는 자료를 소개해보려 합니다. 아시는 분들은 많이들 보셨을 것 같은데요. 해당 자료는 엔지니어가 경력을 성장시키기 위해 자신이 현재 어떤 단계에 있고, 더 성장하기 위해서는 어떤 스킬들을 익혀야 하는지를 아주 잘 정리한 자료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엔지니어의 경력을 성장시키기 위한 방법을 정리한 프레임 워크
- 승진 체크리스트가 아닌, 각 단계에서 어떤 모습일지 파악하는데 도움 되도록 설계
ㅤ→ 레벨 기대치 : 업무 범위, 협업 범위, 임팩트 레버
ㅤ→ 핵심 행동과 기술 책임
* 임팩트 : 엔지니어의 성공을 비즈니스 임팩트로 측정. "고객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ㅤ→ 일관성(Consistency), 속도(Velocity), 책무성(Accountability)
- 분야별로 레벨을 분리하고 항목들을 정리
ㅤ→ 레벨 : IC1 ~ IC4 일반, IC5 Staff, IC6 Principal, IC7 Senior Principal
ㅤ→ 레벨 기대치 : Scope, Collaborative Reach, Impact Levers
ㅤ→ 결과 : 임팩트, 오너십, 의사결정
ㅤ→ 방향 : 민첩, 혁신, 전략
ㅤ→ 능력 : 개인적 성장, 인재 채용, 능력 개발
ㅤ→ 문화 : 협동, 조직의 건강, 커뮤니 케이션
ㅤ→ 기술 : (분야별 주요 기술들) - 코드/ML/System/Testing Fluency, 소프트웨어 설계, 기술 전략, 아키텍처 디자인, 보안,
- 분야별 프레임워크
ㅤ→ Software Engineer : IC1 ~ IC7
ㅤ→ QA Engineer : IC1 ~ IC5
ㅤ→ Reliability Engineer (SRE) : IC1 ~ IC7
ㅤ→ Machine Learning Engineer : IC1 ~ IC5
→ Data Engineer : IC1 ~ IC5
ㅤ→ Security Engineer : IC2 ~ IC6ㅤ
→ Technical Program Manager : IC1 ~ IC6ㅤ
→ Engineering Manager : M3 ~ M7 ( M5 Senior, M6 Director, M7 Senior Director )
다양한 엔지니어링 파트들이 있고, 무려 데이터 엔지니어도 있어서 참고하기 아주 좋은 자료입니다. 아래는 데이터 엔지니어 프레임워크를 단계별로 요약해보았습니다.
1C1
팀의 지시에 따라 좋은 코드와 데이터 모델을 제공할 수 있다
- 정의된 작업을 정의된 해결책으로 해결할 수 있다.
- 팀 리더의 지시에 따라 특정 범위의 팀과 일한다.
- 좋은 코드를 작성하기 위한 역량이 있다.
=> 시키는 일을 문제없이 잘 수행할 수 있고 좋은 코드를 작성할 수 있어야 한다.
1C2
설계에서 구현까지 지속가능한 프로젝트를 만드는데 노력한다.
- 정의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나만의 알맞는 해결책을 정의한다.
- 팀 리더의 지시에 따라 특정 범위의 팀과 일한다.
- 누군가의 멘토가 될 수 있다.
- 데이터, 소프트웨어 디자인을 이해하고 좋은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 문제에 대한 적절한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고, 전체 아키텍처를 이해하고 의견을 낼 수 있어야 한다.
1C3
다양한 프로덕트와 시스템이 걸쳐있는 마일스톤을 파악하고 올바른 소프트웨어와 데이터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 정의되지 않은 문제에 대한 적절한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다.
- 프로젝트를 이끌고, 멘토쉽을 진행할 수 있다.
- 회사 전반에 걸친 구조와 비즈니스에 대한 통찰력을 가져야 한다.
=> 문제를 정의하고 적절한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고, 회사 전반과 비즈니스에 대한 통찰력을 가져야 한다.
1C4
팀, 데이터 도메인, 기술 시스템 전반에 걸쳐 지속적인 비즈니스 영향을 자율적으로 제공한다.
- 팀을 위한 중장기적인 목표를 관리하고, 정의되지 않은 문제를 올바른 해결책을 찾을 수 있다.
- 팀을 이끌고 비즈니스 임팩트를 낼 수 있는 기술적인 전략을 가지고 있다.
=> 팀을 이끌고 비즈니스 전반에 걸쳐 지속적인 임팩트를 낼 수 있어야 한다.
1C5
장기적이고 광벙위한 팀을 조직하여 기술, 데이터 전략을 수립하고 직접 구현하거나 기술적인 영향력을 끼친다.
- 도메인에서 아주 깊은 이해를 가지고 특별한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 다른 팀에게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을만큼 회사의 로드맵에 영향을 미친다.
=> 도메인에 대한 아주 깊은 지식과 회사와 비즈니스 전반에 대해 영향력을 가져야 한다.
위의 요약은 제가 느끼기에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역량들을 정리한 것인데요. 실제로는 세부항목별로 굉장히 자세하게 서술되어 있으니 제 요약은 참고만 하시고 해당 글을 실제로 읽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Dropbox Engineering Career Framework
Dropbox Engineering Career Framework What’s a Career Framework? The Engineering Career Framework is your source for how to achieve impact for your role and team and how to grow in your engineering career. For managers, it can help you set expectations wi
dropbox.github.io
'데이터 엔지니어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래서 어떤 데이터 엔지니어가 되고 싶은데? (1) | 2023.03.07 |
---|
최근에 커피챗을 하면서 굉장히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는데, 그 중 하나인 드롭박스에서 정리한 엔지니어링 커리어 프레임워크라는 자료를 소개해보려 합니다. 아시는 분들은 많이들 보셨을 것 같은데요. 해당 자료는 엔지니어가 경력을 성장시키기 위해 자신이 현재 어떤 단계에 있고, 더 성장하기 위해서는 어떤 스킬들을 익혀야 하는지를 아주 잘 정리한 자료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엔지니어의 경력을 성장시키기 위한 방법을 정리한 프레임 워크
- 승진 체크리스트가 아닌, 각 단계에서 어떤 모습일지 파악하는데 도움 되도록 설계
ㅤ→ 레벨 기대치 : 업무 범위, 협업 범위, 임팩트 레버
ㅤ→ 핵심 행동과 기술 책임
* 임팩트 : 엔지니어의 성공을 비즈니스 임팩트로 측정. "고객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ㅤ→ 일관성(Consistency), 속도(Velocity), 책무성(Accountability)
- 분야별로 레벨을 분리하고 항목들을 정리
ㅤ→ 레벨 : IC1 ~ IC4 일반, IC5 Staff, IC6 Principal, IC7 Senior Principal
ㅤ→ 레벨 기대치 : Scope, Collaborative Reach, Impact Levers
ㅤ→ 결과 : 임팩트, 오너십, 의사결정
ㅤ→ 방향 : 민첩, 혁신, 전략
ㅤ→ 능력 : 개인적 성장, 인재 채용, 능력 개발
ㅤ→ 문화 : 협동, 조직의 건강, 커뮤니 케이션
ㅤ→ 기술 : (분야별 주요 기술들) - 코드/ML/System/Testing Fluency, 소프트웨어 설계, 기술 전략, 아키텍처 디자인, 보안,
- 분야별 프레임워크
ㅤ→ Software Engineer : IC1 ~ IC7
ㅤ→ QA Engineer : IC1 ~ IC5
ㅤ→ Reliability Engineer (SRE) : IC1 ~ IC7
ㅤ→ Machine Learning Engineer : IC1 ~ IC5
→ Data Engineer : IC1 ~ IC5
ㅤ→ Security Engineer : IC2 ~ IC6ㅤ
→ Technical Program Manager : IC1 ~ IC6ㅤ
→ Engineering Manager : M3 ~ M7 ( M5 Senior, M6 Director, M7 Senior Director )
다양한 엔지니어링 파트들이 있고, 무려 데이터 엔지니어도 있어서 참고하기 아주 좋은 자료입니다. 아래는 데이터 엔지니어 프레임워크를 단계별로 요약해보았습니다.
1C1
팀의 지시에 따라 좋은 코드와 데이터 모델을 제공할 수 있다
- 정의된 작업을 정의된 해결책으로 해결할 수 있다.
- 팀 리더의 지시에 따라 특정 범위의 팀과 일한다.
- 좋은 코드를 작성하기 위한 역량이 있다.
=> 시키는 일을 문제없이 잘 수행할 수 있고 좋은 코드를 작성할 수 있어야 한다.
1C2
설계에서 구현까지 지속가능한 프로젝트를 만드는데 노력한다.
- 정의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나만의 알맞는 해결책을 정의한다.
- 팀 리더의 지시에 따라 특정 범위의 팀과 일한다.
- 누군가의 멘토가 될 수 있다.
- 데이터, 소프트웨어 디자인을 이해하고 좋은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 문제에 대한 적절한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고, 전체 아키텍처를 이해하고 의견을 낼 수 있어야 한다.
1C3
다양한 프로덕트와 시스템이 걸쳐있는 마일스톤을 파악하고 올바른 소프트웨어와 데이터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 정의되지 않은 문제에 대한 적절한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다.
- 프로젝트를 이끌고, 멘토쉽을 진행할 수 있다.
- 회사 전반에 걸친 구조와 비즈니스에 대한 통찰력을 가져야 한다.
=> 문제를 정의하고 적절한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고, 회사 전반과 비즈니스에 대한 통찰력을 가져야 한다.
1C4
팀, 데이터 도메인, 기술 시스템 전반에 걸쳐 지속적인 비즈니스 영향을 자율적으로 제공한다.
- 팀을 위한 중장기적인 목표를 관리하고, 정의되지 않은 문제를 올바른 해결책을 찾을 수 있다.
- 팀을 이끌고 비즈니스 임팩트를 낼 수 있는 기술적인 전략을 가지고 있다.
=> 팀을 이끌고 비즈니스 전반에 걸쳐 지속적인 임팩트를 낼 수 있어야 한다.
1C5
장기적이고 광벙위한 팀을 조직하여 기술, 데이터 전략을 수립하고 직접 구현하거나 기술적인 영향력을 끼친다.
- 도메인에서 아주 깊은 이해를 가지고 특별한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 다른 팀에게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을만큼 회사의 로드맵에 영향을 미친다.
=> 도메인에 대한 아주 깊은 지식과 회사와 비즈니스 전반에 대해 영향력을 가져야 한다.
위의 요약은 제가 느끼기에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역량들을 정리한 것인데요. 실제로는 세부항목별로 굉장히 자세하게 서술되어 있으니 제 요약은 참고만 하시고 해당 글을 실제로 읽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Dropbox Engineering Career Framework
Dropbox Engineering Career Framework What’s a Career Framework? The Engineering Career Framework is your source for how to achieve impact for your role and team and how to grow in your engineering career. For managers, it can help you set expectations wi
dropbox.github.io
'데이터 엔지니어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래서 어떤 데이터 엔지니어가 되고 싶은데? (1) | 2023.03.07 |
---|